본문 바로가기
나만 모르면 손해인 꿀정보/🔥BEST 꿀정보 모음🔥

2024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 무려 XXX원 올랐다. 내가 받을 월급은? ( 꼭 알아야 할 연봉협상 꿀팁 2가지 )

by 탠빌 2023. 12. 16.

 

 

어느덧 2023년의 마지막 달인 12월에 접어들었습니다. 지난 2023년을 되돌아보면서 앞으로의 2024년 신년 계획을 새우실텐데요. 우리 모두가 새해가 오기 전 꼭 검색을 해보는게 있습니다.
직장을 다니거나 아르바이트를 하고있는데 모른다면 정말 손해입니다.

 

 

'최저임금'

 

 

2024년 최저임금은?

 

나의 월급 대비 최저시급은 얼마인지, 또한 최저임금과 비례해서 연봉협상 때 최대 몇%를 부를 것인지.

알아두면 무조건 도움될 2024년 최저시급.

 

 

먼저 공식적으로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실까요?

2024년_최저임금_전단지.pdf
1.30MB

 

최저임금은 이제 자세히 알았고

" 근데 올해 2023년과 비교해서 얼마나 오른다는거야? "

궁금해 하시는 분들 많으실거에요.

 

자세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2023년 vs 2024년

 

 

 

2023년 기준 최저시급은

시간당 9,620원 입니다.

 

주 40시간 기준, 주휴수당 포함해서 계산을 해보면

월 2,010,580원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2024년은? 

 

 

 

 

2024년은 시간당 9,860원이네요.

계산을 해보자면 2023년 대비 약 2.5% 상승했습니다.

 

월급으로 바꿔보면 2,060,740원입니다.

2023년과 비교해 5만원 가량 올랐네요.

 

많이 오르진 않았지만,

긍정적으로 본다면 핸드폰 비용 정도는 가만히 앉아서 벌었습니다.

 

허허...근데 저는 왜 슬플까요...

왜냐면 2023년 1년 동안 오른 물가 때문입니다.

 

 

 

2023년 10월 기준으로 보았을 때

2022년 대비 물가는 3.8%나 올랐습니다.

 

내년에 받을 최저 노동력의 가치는 2.5% 상승했지만

올 해 오른 물가는 벌써 3.8%...

 

가만히 통장에 월급을 모아두셨다면,

1.3%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돈이 녹아내리셨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적금을 들어 두셨다면 이자 만큼 보완했겠지만 말이죠.

 

저는 그래서 월 백만원 이상 저축하는 적금이 따로 있습니다.

또한 해외 ETF 주식, 가상화폐, 채권 등 다양한 상품으로 그 이상을 벌었죠.

 

나중에 기본적인 경제 관련 꿀정보 및 기초지식은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만들어보겠습니다

 

여하튼!!

우리의 노동가치가 화폐가치가 떨어지는 만큼 오르질 못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투자는 무섭지만 내 돈을 지키고 싶다면 아주 간단합니다.

 

" 내 연봉(월급)을 올리면 해결됩니다. "

 

화폐가치는 시장경제의 원리에 따라 바뀌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우리의 월급은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올릴 수 있습니다.

 

저도 오랜 직장인으로서 다양한 저만의 연봉협상 꿀팁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2가지 알려드릴게요.

 

 

 

모르면 손해보는 연봉협상 꿀팁 2가지

 

1. 올해 업무를 정리하고, 그래프화 한다.

스스로가 맡아서 한 일은 그 누구보다 스스로 잘 알고 계실겁니다. 아셔야 하구요.

연봉협상 전에는 올 한해 동안 자신이 참여한 프로젝트나 업무들에 대해서 정리를 하셔야 합니다.

 

'퍼포먼스 마케터'로 간단히 예를 들어볼게요.

2023년 상반기 참여하거나 관리한 광고 소재나, 프로젝트가 있으실겁니다.

해당 광고나 프로젝트의 12월 까지의 성과를 분석하시면 됩니다.

 

해당 광고 소재를 통한 매출 상승률을 그래프화 하세요.

극적인 효과를 위해서 분기로 나누지 마시고, 상반기 / 하반기로 나누시면 더욱 좋습니다.

위에는 방금 1분만에 만들었지만

실제로는 더 자세하고 명확하게 하셔야합니다.

 

인간은 시각적인 자료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똑같이 연봉협상을 준비해도 시각자료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하늘과 땅 차이죠.

 

간단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린트로 2부씩 뽑아서 협상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확한 성과분석은 곧 연봉 인상의 지름길 입니다.

 

 

2. 상한선과 하한선을 정해두자.

 

보통 연봉협상은 안좋게 끝난다고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는 항상 최고의 상황과 최악의 상황을 생각해야 합니다.

 

1번 꿀팁을 활용해 객관적인 성과분석을 통해 우리는 설득에서 2배는 유리한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히 멘트를 한 번 짜볼까요??

 

" 제가 앞서 보여드린 성과분석을 통해 앞으로 더욱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는 것이 객관적인 사실인 것은 인정하실 겁니다. 더 나아가서, 현실적인 부분도 고려하자면 2023년 1년동안 오른 물가상승률은 3.8% 입니다. 제 연봉이 최소 3.8% 인상되어야 현상유지할 수 있게됩니다. 수치적으로 보아도 제가 회사 내에서 발휘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득은 한 해에 xxx원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최대 10% 인상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별 내용 없지만, 심리적인 요소를 적용하였습니다.

 

그렇지만 '최대 10%' 라는 멘트를 통해 우리는 한 번 상한선을 툭 던져본겁니다.

최대라는 단어를 통해 상대방에게 상한선임을 명시한거죠.

 

"10%가 아니더라도 비슷하면 마음에 만족할 것"

자연스럽게 상대방이 알아챌 것입니다.

 

하한선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물가 상승률은 3.8% 라는 통계자료가 있기 때문에 하한선은 자연스럽게 3.8% 이상이 될 수 밖에 없죠.

연봉동결을 방지할 최소한의 장치입니다.

 

아주 대단한 내용은 아니지만

그 효과는 정말 대단합니다.

 

저는 단 한번도 연봉동결된 적도 없으며, 제가 의도한 연봉협상을 항상 달성했거든요.

협상 때 마다 항상 듣는 소리가 있습니다.

 

" 오늘은 무슨 그래프야? "

저는 항상 그래프를 준비하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준비 하나 만으로 협상 분위기 자체가 좋아지니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

 

 

오늘은 2024년 최저시급을 알아보았습니다.

2023년과 비교도 해보고, 물가 상승률도 알아보구요.

 

거기에 더불어 연봉협상을 위한 꿀팁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최저시급만 알아도 내 월급 올리는 너무 쉬운 방법이죠?

 

남은 2023년 마무리 잘 하시고,

성공적인 연봉협상도 기원하겠습니다.